본문 바로가기
경영학

모티베이션(동기부여) 이론 : 2요인이론, 기대이론

by 후니의 생생 꿀팁 블로그 2023. 7. 2.

외부의 환경이나 여건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높은 근로의욕을 가지고 열심히 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측면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내재적 모티베이션을 강화하는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말인즉슨 사람들은 사회적, 경제적 보상만이 아니라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취감 도전감과 같이 업무 그 자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내재적 보상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대부분의 경영자들은 일반적으로 구성원의 외적인 조건에 관심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효과적인 모티베이션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동기부여를 시키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내재적 모티베이션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실시해야 한다. 임금을 올려준다거나 수당을 올려준다거나 하는 외적인 것들도 중요하지만, 그것 외에 업무수행에서 업무담당자의 자율성을 높여 스스로 참여하게 만든다거나, 반복 업무를 줄여서 더 합리적으로 운영을 한다든가 하는 구성원 개인 스스로가 자기 일에서 근로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만들 필요가 있다.

 

1. 동기부여이론 : 2요인이론

 

내재적 동기부여를 위한 욕구 이론 중 하나가 F. Herzberg의 2요인이론이다. 2요인이론은 사람들의 욕구가 단계별로 계층을 이루고 있지는 않으며 오히려 불만족해소와 만족 증가 차원의 별개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되는 이론이다.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해결하면 만족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 다른 영역에서 불만족이 있는 부분은 예방과 해결을 하고, 만족이 있는 부분은 만족이 더 증가하거나 만족이 감소한다고 보는 것이다. 먼저 첫번째 범주에 대해 직무에 대한 불만족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환경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위생요인이라고 부른다. 다른 의미로는 불만족요인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들 충족의 요인이 단지 불만족의 감소만을 가져오는 것이지 만족에는 못 미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낮은 임금을 받다가 임금수준이 높아지면 불만족은 제거되지만 임금수준이 일정 수준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일에 대해 동기부여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 직무내용과 관련된 두 번째 범주의 요인은 동기요인이라고 부른다. 동기요인이란 개인에게 더 나은 만족과 성과를 가져오게끔 동기 부여하는데 효과적인 요인들을 의미한다. 동기요인은 만족요인이라고도 하는데, 동기요인은 이러한 요인이 충족되지 않아도 불만은 생기지 않지만 일단 충족되면 만족에 영향을 주고, 이는 일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만족요인으로는 성취감, 도전감, 책임감 등을 들 수 있다. 2요인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일을 열심히 하지 못하는 원인을 사람 자체에서 문제점을 찾기보다 그 사람이 하는 일 자체에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2. 동기부여이론 : 기대이론

 

한편 모티베이션은 사람이 원하는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느냐 하는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에 고려해야 할 점이 많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이러한 모티베이션의 복잡한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 V. Vroom의 기대이론이다. 기대이론은 개인의 모티베이션 정도는 최종 보상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매력정도와 그것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성과 수준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매력 정도, 그리고 성과 수준에 따라 어떤 최종 보상이 주어질 것이라는 양자의 관계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확률, 개인이 노력을 기울여 필요한 성과 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확률 또는 기대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들이 모두 높은 경우 개인의 모티베이션은 무척 높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값이 없을 경우 모티베이션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일을 하면서 자신이 노력한 대가를 정당하게 받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 동기부여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경영자는 조직구성원들을 그 사람의 노력을 잘 고려하여 다른 사람의 노력의 대가와 비교하여 형평성이 유지되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 결국 구성원들이 근로의욕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업원이 땀 흘려 노력한 결과에 대한 대가가 공정하게 주어지게 함으로써 성과와 보상이 합치될 수 있도록 해야되고, 보상이 화폐적 보상의 절대 액수보다는 자신과 비슷한 직무 및 업무강도를 가진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는 사회적 비교가 중요하다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