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적자원관리 경력개발제도
인적 자원의 개발을 통하여 구성원 개인과 조직의 목표를 균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관리의 주요 과제 중 개발 지향적 인사고과, 교육훈련, 직무순환, 승진 등에 초점을 두어 체계적으로 제도화한 인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인 경력개발제도가 중요해지고 있다. 개인의 입장에서 경력이란 조직 생활에서 직무 경험으로서뿐만 아니라 개인의 인생 행로 또는 목표로서의 의미를 가지므로 경력개발제도는 경력의 개발과 성공이 개인적인 의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성과향상과 연결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2. 경력개발제도의 특징
이러한 경력개발제도는 개인의 노력, 자기 계발, 기업조직의 지원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경력개발제도는 확보관리에서 유지관리에 이르는 인적 자원관리 기능과 개인의 생애 관점을 통합하여 조직 내의 업무와 직위를 고려함으로써 인적자원관리 활동이 역동성을 띠게 되고, 목표와 주요 기능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하나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한다. 둘째, 경력개발제도는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시키고 이것을 조직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직유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조직은 개인에게 조직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어떤 업무와 직위가 조직에서 제공되는지를 알려주고 새롭게 개발하는 것이며, 개인의 입장에서는 일생을 통하여 자기가 원하는 경력을 계획하고 성취해 나가기 위해 적합한 일을 탐색하고 이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을 스스로 개발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셋째, 경력개발제도는 구성원 개개인에게 의미 있는 일을 제공함으로써 내재적 모티베이션을 촉진하는 것과 같이 근로의욕을 높일 수 있으며, 조직의 인사 적체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개인의 기회 박탈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3. 경력개발제도의 운영과정
경력개발제도의 운영과정을 알아보겠다. 개인과 조직의 경력개발과정은 경력계획단계, 경력개발단계, 평가 및 피드백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경력계획단계는 구성원의 입장에서 자신의 경력 목표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경력경로를 확인하는 단계이며, 조직의 입장에서 이러한 경력개발 활동이 개인 목표와 조직 목표에 일치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단계이다. 인적자원개발 관련 부서는 구성원들이 어떤 경력 욕구를 가졌는지에 대한 평가를 통해 다양한 그들의 욕구와 관심을 알아야 한다. 경력 욕구를 고려하여 경력교육을 실시하거나, 경력상담을 실시함으로써 효과적인 경력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경력개발단계는 구성원의 입장에서 자신의 경력계획이 현실화할 수 있도록 실천에 옮기는 단계로서 조직은 이러한 개인의 경력개발 활동이 조직의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 단계이다. 경력개발을 하는 개인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경력개발 활동이 조직에도 유익한 성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항상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조직은 항상 적극적인 지도를 통해 개인의 경력개발 활동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평가 및 피드백 단계에서는 종업원과 조직 모두 목표한 경력계획이 경력개발 활동으로 얼마나 달성되었는가에 대해 점검 및 평가한다. 이때 경력계획단계 및 경력개발단계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하거나 계획을 수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경력개발제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촉진하기 위해 조직이 취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경력정보의 제공, 경력상담 및 경력교육, 경력사다리의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경력정보란 구성원들이 자기 경력을 계획하는 데 필요한 직무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즉 조직 내 발생한 일, 향후 조직에서 필요한 일, 승진의 기회 등을 구성원들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경력사다리란 조직 내의 사람들이 보이는 직무승진의 일정한 패턴으로서 조직에서 경력 기회를 제곻하는 유용한 수단이 된다. 경력사다리는 조직 내에서 직무의 내용은 약간씩 상이하지만 비슷한 숙련을 가진 직무의 집합을 직군으로 만들어 직무순환이나 승진의 패턴을 명확히 정립함으로써 경력개발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휘기능 : 리더십 (0) | 2023.07.06 |
---|---|
노사관계론 : 노사관계에 대한 이해 (0) | 2023.07.05 |
인적자원관리 : 의의와 핵심과제 (0) | 2023.07.03 |
모티베이션(동기부여) 이론 : 2요인이론, 기대이론 (0) | 2023.07.02 |
사람관리 : 모티베이션(동기부여) (0) | 2023.07.02 |